언론보도
홈으로
- 의회소식
- 언론보도
창동역 경관 개선사업 마무리 짓고, 개장식 개최(동북일보'13.7.1일자)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13.07.01 | 조회수 | 1240 |
![]() 북카페, 행복나눔매장, 푸드마켓 개장식도 겸해 변모한 창동역 공개 창동역 동측 차 없는 문화거리 조성하여 주민중심 공간으로 탈바꿈 도봉구 창동역은 서울 동북부의 관문이면서 도봉구의 교통중심지이다. 도봉구(구청장 이동진)는 창동역사 하부 통로와 주변 환경의 경관을 개선하는 사업을 마무리 짓고, 지난달 26일 오전 10시 완공식 및 시설 개장 행사를 개최했다. 창동역 동측 1번 출구 옆에 조성한 차 없는 문화의 거리에서 개최된 완공식에서는 북카페 ‘행복한 이야기’와 행복나눔매장, 푸드마켓의 개장식도 함께 열려 새로이 변모한 창동역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창동역의 어둡고 낙후된 역사 하부의 콘크리트 구조물 색을 바꾸고, LED조명을 설치하여 주민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기존에 노점상들이 들어서 있던 창동역 동측(1번 출구) 일대를 차 없는 문화거리로 조성하였다. 총 4,100㎡ 규모의 녹지에 예술전시공간과 바닥분수, 야외무대, 농구장 등을 조성하여 주민들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제공했다.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구는 지역주민들의 의견과 기존에 입점해 있는 시민단체 및 노점의 이주 및 거취 문제에 중점을 두었다. 경관개선주민협의회를 구성 후 22회에 걸친 회의를 개최하며 지역주민들로부터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여 설계에 반영하였다. 시민단체와 노점상을 대상으로는 지난 2012년 1월 입주단체 사업설명회와 2월 노점 연합회 사업설명회를 시작으로 대화와 신뢰 쌓기에 나섰다. 접근성이 뛰어난 창동역인지라 기존 위치를 고수하고자 하는 압력 행사도 잇따랐으나, 6개월 가량의 시간이 흐르자 인사를 나눌 정도의 친분 관계가 형성되었고, 지역 발전을 위한 양보에 대해 의견을 조율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노점이 사용하는 창고는 철거하고 주류 판매와 테이블을 이용한 영업을 하지 않기로 하였으며, 마차의 규모를 대폭 축소하고 새롭게 디자인하여 개선된 환경에 맞추기로 협의하였다. 창4동 자율방범대와 자전거 가게에 대해서는 조건 없는 이주를 이끌어냈으며, 푸드마켓과 행복나눔매장은 저소득자를 지원하는 사업임을 감안해 재 시설 입점하기로 결정했다. 이 외에 서측 하부공간의 자전거 보관대도 한국철도공사와 공단 그리고 민자역사주와의 회의 및 설득을 거쳐 이전에 협의하기도 했다. 새롭게 탄생한 창동역의 유지와 관리에는 주민들이 앞장설 전망이다. 창동역 주변에 위치한 아파트의 동대표 등으로 구성된 8명의 홍보대사가 창동역 역사하부 시설물에 대한 홍보를 담당하며, 유지관리를 위한 의견 제시 및 지역주민 의견 수렴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진 구청장은 이날 개장식 행사에서 홍보대사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새로이 입점한 북카페 역시 지역 주민의 만남 공간으로 사용된다. 북카페는 동북여성민우회에서 운영하며, 서울시의 북카페사업에 선정되어 부족사업비 7천 5백만 원을 확보하였다. 한편, 도봉구 창동역 역사하부는 어둡고 무질서한 환경으로 주민들로부터 개선요구가 꾸준히 제기되었던 지역이다. 구는 경관개선사업을 역점사업으로 추진해 창동역을 기존의 낙후된 이미지로부터 벗어나 주민들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고, 문화를 체험하며 소통할 수 있는 모습으로 탈바꿈시켰다. |
|||||
첨부 |
다음글 | 공직경험 의정에 쏟아부을터 |
---|---|
이전글 | 도봉구청, 의회 절차 무시(티브로드서울보도국'13.6.26일자) |